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 기초

[파이썬 기초] 특정 요소의 일부를 가져오는 slicing

슬라이싱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잘라서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.

마치 책에서 일부 페이지만 복사한다고 생각하시면 되요. 

 

1. 슬라이싱은 어떻게 사용할까요? 시작 인덱스 : 끝 인덱스 형태입니다. 

여기서는 fruit[1:4]니까 시작 인덱스가 1이고, 끝 인덱스는 4-1인 3까지 가져오는 거예요.

그래서 배, 오랜지, 바나나 이렇게 1,2,3에 해당하는 3개의 과일을 가져오는 것입니다.

* 끝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고 끝 인덱스-1 까지만 포함 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.

 

2. 처음부터 지정한 인덱스까지, 지정한 인덱스 부터 끝 인덱스까지.

여기서 처음부터 지정한 인덱스까지 slicing을 한다고 하면, 처음은 생략하고 지정한 :3으로 바나나 전인 오렌지까지 가녀옵니다.

반대로 지정한 인덱스부터 마지막까지는 2시작점을 지정하고 : 로 생략해서 마지막 인덱스까지 가져 옵니다.

 

3. 간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 

원래 slicing에서는 [시작 : 끝 : 간격] 을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.

여기서는 1인 배에서 5-1인 포도까지 중에 2간격으로 추출해줘. 라는 의미로 배, 바나나가 나오는 것입니다.

 

슬라이싱은 이전에 배웠던 리스트, 튜플 처럼 순서가 있는 자료형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

 

-> 주로 언제 사용할까요?

 

1) 최근 5개 데이터 가져오기

sales = [9900, 2300, 4300, 2300, 1100, 5500, 2400] 

recent_sales = sales[-5:]  # 최근 데이터 5개만 추출

 

2) 머신러닝시 데이터셋을 훈련용과 테스트용으로 분리할 때

data = [100, 200, 300, 400, 500, 600, 700, 800, 900, 1000]

train_data = data[:8]
test_data = data[8:]

print("Train:", train_data)  # [100, 200, 300, 400, 500, 600, 700, 800] 80% 훈련 데이터
print("Test:", test_data)    # [900, 1000]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slicing에 다루어 보았습니다.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반응형